profile

Junil Jeong

I am a frontend developer equipped with skills of typescript and react.js. Looking forward to achie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your teams.

I have recently completed Software Engineering Bootcamp in CodeStates and currently studying Next.js 😁

📍 Incheon, Korea

악보의 정원 회고 - 1

2023.03.13

악보의 정원

악보의 정원 바로가기


🎼 악보의 정원

처음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나서 복잡한 폴더 구조와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고려하지 못해서 아쉬웠다. 구조 단계에서 이를 공감하고 해결하기 위한 센빠이님들의 노력을 찾아보니, 아토믹 디자인 패턴 (Atomic Design Pattern)이라는 구조 방식이 있었다.

🎨 아토믹 디자인 패턴

아토믹 디자인 패턴은 디자인 시스템 구축방법중 하나이다. 컴포넌트를 가장 작은 구성 요소로 쪼개고, 그런 요소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페이지를 만드는 방식으로 디자인 시스템을 구성한다.

아토믹 디자인 패턴에는 5가지의 계층이 존재한다.

  1. Atoms : 가장 작은 단위로, 버튼, 입력 필드, 레이블 등과 같은 개별적인 요소들을 의미한다.
  2. Molecules : 두 개 이상의 원자가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구성 요소들입니다. 예를 들어, 검색 필드와 검색 버튼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검색 폼이 분자입니다.
  3. Organisms : 분자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구성 요소들입니다. 예를 들어, 헤더, 푸터, 메뉴 등과 같은 요소들이 유기체입니다.
  4. Templates : 유기체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레이아웃 템플릿을 의미합니다.
  5. Pages : 실제로 사용자가 접하는 웹 페이지를 의미합니다. 페이지는 템플릿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유기체와 분자, 원자 등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아토믹 디자인 패턴

3명의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구성된 악보의 정원 프로젝트에서는 Templates 계층을 사용하지 않고 4가지로만 개발했다. Templates에서 데이터 fetching 만을 다루는 게 그닥 효율적으로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뒤돌아 생각해보면 스토리북에서 받아내는 API 호출 관련 에러들을 Templates단에서 정리해줄 수 있었을 거 같다.

🛠 기술 스택

언어 : Typescript 프레임워크 : React.js 상태관리 : Redux Toolkit 디자인 : Scss 컴포넌트 테스트 : Storybook 데이터베이스 : Firebase 배포 : S3

🤖 프로토타입 feat. 피그마

피그마 프로토타입

먼저 PC버전의 page view를 작업하고 반응형을 고려하여 그 옆에 Mobile 버전으로도 만들어 줬다. 그리고 시작된 극한의 컴포넌트 쪼개기가 시작 됐다.

피그마 프로토타입

온갖 형태의 버튼들과 인풋, 이미지 레이아웃으로 먼저 atoms를 만들었고, 유저에게 보여지는 텍스트들도 역시 atoms로 분류해놨다.

해당 atoms로 molucules를 제작했다. 여기서부터 팀원들이 이렇게 하는게 맞는 건가 긴가민가 했고 사용하는 atoms와 molecules의 재사용성을 고려하며 현자타임을 맞이했던 거 같다. 결과적으로 디자인 시스템이 어찌 됐든 재사용성을 고민하고 작업을 하는 건 어느 작업에서건 효율을 높이는 멋진 고민이라고 이때 생각이 들었다.

🌲 컴포넌트 구조

폴더 구조

이전 프로젝트에서 아쉽게 느껴졌던 폴더 구조 (~~components 폴더 안에 이것저것 넣어버리기..~~) 에서 위 폴더 구조를 보니 참으로 선녀같다.

해당 폴더를 열어보면

폴더 내부 구조

이렇게 css 모듈 파일, storybook export 파일, 기능 코드 파일 이렇게 3가지로 분류를 했다. 해당 폴더구조를 공부하고 도입한 팀원에게 무한한 박수를 👏

아쉬웠던 점

  • Firebase 호출하는 로직파일이 Firebase.tsx 파일 하나에 모두 들어가있다. 기능에 따라 폴더를 세분화하는 작업이 필요한 걸 알고 있었기에 utils 폴더에 api collection 폴더를 만들었고, user의 authentication을 처리하는 파일을 만들었지만, 어찌 어찌 작업을 하다 보니깐 firebase.tsx의 코드 길이만 800줄이 됐다...

🔥 파이어베이스

처음엔 NestJS를 사용하여 백엔드 서버를 구축하려 했지만, 너무 프로젝트가 도전적이고 부담스러워 질 거 같아서 파이어베이스를 사용했다.

👨‍💻 유저

가장 먼저 유저의 authentication 처리를 진행했다.

authentication firebase

firebase/auth 에서 createUserWithEmailAndPassword() 메서드를 사용했다. 유저가 작성한 이메일과 비밀번호의 유효성 검사는 프론트에서 한 번 regTest를 하여 걸러줬다. 해당 메서드는 user 정보를 리턴하는데 그 정보중 uid를 파이어베이스 user collection에 document 키 값으로 사용하여 유저 DB를 만들었다. 초기 필드로 isActive : true cash : 1,000,000 cartItems=[] 를 만들어줬다.

authentication firebase

감사하게도 파이어베이스 메서드 updateProfile()를 사용하여 유저 본인의 정보에 접근이 가능했다. 랜덤으로 5개의 아바타중 하나를 추출하는 utils 함수를 만들어서 유저 프로필 사진으로 지정되게 만들어줬다.

마지막으로 반환된 유저정보에서 token을 뽑아내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해주고 로그인 시켜주는 걸로 마무리!

authentication firebase

로그인 역시 firebase/auth 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핵심 기능인 게시글 CRUD는 너무 길어서 나중에 따로 블로깅 해야겠다.

🎵 스포티파이 API

본인피셜 프로젝트에서 내가 맡은 기능 중에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다.

유저가 악보를 판매하기 위해 게시글을 작성할 때 해당 곡이 진짜 세상에 존재하는 곡인지 유효성 검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샷건의 집현전~~ 방지). 또한 유저가 업로드 하려는 게시글의 곡이 이미 firebase document로 존재한다면, 해당 문서의 필드인 scores 배열에 추가가 되었으면 했다. 따라서 같은 음원이 중복된 document key로 들어갈 필요가 있었다. 우리는 곡 이름 - 가수 이름 이렇게 key 값을 처리해줬다.

위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음원 정보를 가진 오픈 API를 찾아야 했는데 가장 처음으로 찾아본 게 ManiaDB 였다. 최신곡의 정보들이 올라가고 한국어를 지원하는 api여서 매력적이었지만, 마지막으로 api가 업데이트 된 시점이 2013년이고 도저히 api키 발급을 받기가 불가능에 가까웠다. 결국 음원시장의 대장인 spotify의 오픈 api를 사용하기로 했다.

계정 만들기 이런 자잘한 내용은 스킵하고, Dashboard에서 App을 만들면 Client ID, Client Secret이 발급된다. 음원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access token으로 api 요청을 보내야한다. 하지만 access token의 유통기한이 1시간이라 만료될 때 마다 refresh token을 사용하여 새로운 access token을 발급받아야한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유저가 token이 만료가 될 때마다 spotify의 팝업이 나오고 내 spotify 계정이 노출되며 access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것이였다! 이것을 해결하는 게 꽤 도전적이었다.

먼저 refresh의 유통기한이 엄청 길다는 걸 확인했다. 개발단계에서 refresh를 미리 받아놓고 환경변수로 만들어주고, 기존 Token이 만료될 때 꺼내서 갱신하도록 코딩했다. 반쪽짜리 답이긴하다. refresh마저 만료가 될 경우 개발자가 직접 refresh 토큰을 받아내서 새로 환경변수로 설정하고 deploy 브랜치에 머지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도 답을 찾은 게 어디야 하하...

spotify token 저작권 정보 조회

2편에서 계속..